추진배경 및 필요성
- 책, 영화, 신문, 방송 등 정보전달 매체는 IT 기술의 발전으로 유,무선 인터넷망으로 통합되며 전통 미디어 산업의 위기 도래
- 스마트 TV, 태블릿 PC, 스마트 폰 등 스마트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융복합 콘텐츠의 출현 가속화
- 글로벌 기업의 국내 진입 대응 및 우리 기업의 세계시장 진출 전략 미흡
- 융,복합형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미디어 산업화 필요
-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 및 스마트 미디어가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총체적인 표준화 전략 수립 시급
- 이에 따라 스마트미디어 활용 촉진을 위한 표준화 기반 구축 시급
목표 및 전략
스마트미디어 국가표준코디네이터 역할
- 스마트미디어 표준화 로드맵, 프레임워크 개발 및 국제 표준화 전략 등 수립
- 스마트미디어 국내 개발기술의 국제표준 및 해외시장 선점 지원
- 스마트미디어 관련 국책 R&D 과제 도출 및 표준과 연계한 기획, 자문, 평가
- 정부⋅지자체의 스마트미디어 관련 정책과 민간기업간 협력 프로젝트를 조성하여 산업화를 견인하기 위한 시범사업 기획 및 추진
국가표준화 기구 & 사실상표준화 기구
- 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
- IDPF(국제전자출판포럼,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)
- IMS-GLC(IMS 국제 학습 콘소시엄,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)
국내 부처 & 유관기관
국내외 관련협회(포럼 및 컨소시움 포함)
- 한국스마트미디어협회
- 한국이러닝산업협회
- 한국전자출판협회
- 한국교육정보진흥협회
- 전자출판물 표준화포럼
- IMS Korea 표준화포럼
- MPEG 포럼
- 모바일웹2.0 포럼
- 스마트TV 포럼
- 한국네트워크연구조합
- 한국통신학회
- 클라우드컴퓨팅 포럼 클라우드서비스협회산하
- 게임기술 표준화포럼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
국내외 관련기업
■: 국가표준코디네이터사업 1차년도 주력 표준화 대상분야
기구 | SC | WG |
---|---|---|
ISO/IEC JTC1 | SC36 교육 정보(Information Technology for Learning, Education, and Training) |
WG1 어휘(Vocabulary) |
WG2 지능형 협업 기술(Collaborative and Intelligent Technology) |
||
WG3 참여자 정보(Participant Information) |
||
WG4 정보 관리와 전송(Management and Delivery) |
||
WG5 QA 명세 프레임워크(QA & Desc. Frameworks) |
||
WG6 지원 기술 및 규격 통합(Supportive Technology and Specification Integration) |
||
WG7 문화, 언어, 인간의 기능 활동(Culture, Language, and Human Functioning Activities) |
||
SC34 전자문서 처리 언어(Document Description and Processing Languages) |
WG1 전자문서 표현 언어(Markup Languages) |
|
WG2 정보 표현(Information Presentation) |
||
WG3 정보 연계(Information Association) |
||
WG4 OOXML(Office Open XML) |
||
WG5 전자문서 상호운용성(Document Interoperability) |
||
WG6 ODF(Open Document Format) |
||
AHG4 Epub |
||
SC29 멀티미디어 부호화표현(Coding of audio, picture,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) |
WG1 JPEG |
|
WG11 MPEG |
||
SC24 컴퓨터그래픽스, 영상처리 및 환경데이터 표현(Computer graphics, image processing and environmental data representation) |
WG6 멀티미디어 표현 및 변환(Multimedia Presentation and Interchange) |
|
WG7 영상처리 및 변환(Image Processing and Interchange) |
||
WG8 환경데이터 표현(Environmental Representation) |
||
WG9 증강현실 연속체 개념 및 참조모델(Augmented reality continuum concepts and reference model) |
사실상표준화기구
표준화 기구 | Title |
---|---|
W3C | 웹(WWW)에 관한 사실상 표준화 |
Khronos |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에 관한 사실상 표준화 |
IDPF | 전자출판(EPUB)에 관한 사실상 표준화 |
IMS-GLC | e러닝 콘텐츠,플랫폼,서비스에 관한 사실상 표준화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