추진배경 및 필요성
- 대체에너지의 필요성 대두 및 친환경 기술개발을 위한 경쟁을 치열하게 전개
- 충전시스템 개발 및 인프라와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가 전기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필수요건
- 전기자동차 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보급 활성화를 위해 사용자의 안전성, 편의성 및 호환성 등의 확보가 필수적이며, 이를 뒷받침하는 부품, 차량, 시스템 등의 표준화 요구
목표 및 전략
전기자동차 국가표준코디네이터 역할
- 기관별로 수립한 코디네이터 사업의 목표 조율
- 미국, 일본, 독일 등 주요국의 표준개발 기관과의 협력 체계 구축
- 코디네이션 팀의 세부 사업목표별 추진 사항 협의 및 조정
- 국가연구개발 과제 중 국제표준화 제안 과제 도출 및 국제표준화 추진
국가표준화 기구 & 사실상표준화 기구
- ISO(국제표준화기구)
- IEC(국제전기기술위원회)
- SAE(미국자동차공학회)
- IEEE(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)
- JSAE(일본자동차공학회)
- VDA(독일자동차제조자협회)
- ACEA(유럽자동차공업협회)
- JARI(일본자동차연구소)
- DIN(독일표준기관)
국내 부처 & 유관기관
국내외 관련협회(포럼 및 컨소시움 포함)
국내외 관련기업
■: 국가표준코디네이터사업 1차년도 주력 표준화 대상분야
기구 | TC | SC | WG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ISO | TC22 도로차량 (Road Vehicle) |
SC3 전기자기 장치 (Electrical & Electronic equipment) |
전기차량 | |
SC21 전기추진 도로차량 (Electrically propelled road vehicle) |
WG1 일반, 안전, 저장 |
전기차량 | ||
WG2 성능, 효율, 연비 |
||||
WG3 배터리 |
||||
SC23 모패드(Mopeds) |
WG9 전기이륜차 (Electric mopeds and motorcycles) |
전기이륜차 | ||
IEC | TC69 전기도로차량 및 산업용트럭 (Electric road vehicle & electric industrial trucks) |
PT 61851-21
전기차 요구조건 (Electric vehicle requirements for conductive connection to an a.c./d.c. supply) |
전기차충전 | |
PT 61851-22
교류충전스탠드 (a.c.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) |
||||
PT 61851-23
직류충전장치 (D.C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) |
||||
PT 61851-24 직류통신 (Control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off-board d.c. charger and electric vehicle) |
||||
SC23H 산업용플러그와 소켓아울렛 (Industrial plug & socket outlet) |
||||
TC21 2차 전지 & 배터리(Secondary cells and batteries |
||||
ISO/IEC | JWG1
V2G 통신인터페이스 (Vehicle to Grid Communication Interface) |
사실상표준화기구
표준화 기구 | Title | 비고 |
---|---|---|
SAE | 미국자동차 표준 주도하는 사실상 표준화기구 | 충전장치 |